** 3차원 Drawing 하기 **
캐드는 2차원 도면 뿐 아니라 3차원 도면도 지원한다.
가장 큰 매력이 아닌가 한다. (^^)V
지금 까지의 좌표계는 주로 2차원인 X, Y를 기본으로 하나 3차원에서는 하나 더 추가하여 Z축을 생각해야 한다.
## 3차원 좌표계 ##
주로 상대좌표를 이용하며 기존의 좌표계 사용에 Z에관한 내용만 추가한다.
@X의 이동거리 , Y의이동거리 , Z의이동거리
예) @0,0,100 --> X,Y로의 이동없이 Z로만 100만큼 이동.
** VPOINT 명령 **
Vpoint 는 기존의 2차원 View에서 3차원 View를 볼수있도록 사용자 관찰 시점을 맞춰준다.
<방법>
Command: vpoint
Current view direction: VIEWDIR=1.0000,-1.0000,1.0000
(--> 현재의 Vpoint 상태를 보여준다)
Specify a view point or [Rotate]: 1,-1,1
(--> 새로운 또는 원하는 Vpoint 세팅값을 넣는다 )
Regenerating model.
이때 숫자의 기준은 '1' 이며 이것은 정육면체를 기준하여 맞닿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
이때첫번째 들어가는 숫자는 오른쪽면을 볼지 왼쪽면을 볼지를 결정하며,
두번째들어가는 숫자는 정면을 볼지 뒷면을 볼지 를 결정하고,
세번째 들어가는 숫자는 윗면을 볼지 아랫면을 볼지 를 결정한다.
※ 이때 보고싶지 않은 면은 '0'으로 처리한다.

※ 처음 익숙하지않은 경우 위의 셋팅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시된 셋팅을 외운뒤 여러번 반복하며 구성을 살펴보면서 차츰 익혀 간다.
[자료제공 : Dr.Koh]
캐드는 2차원 도면 뿐 아니라 3차원 도면도 지원한다.
가장 큰 매력이 아닌가 한다. (^^)V
지금 까지의 좌표계는 주로 2차원인 X, Y를 기본으로 하나 3차원에서는 하나 더 추가하여 Z축을 생각해야 한다.
## 3차원 좌표계 ##
주로 상대좌표를 이용하며 기존의 좌표계 사용에 Z에관한 내용만 추가한다.
@X의 이동거리 , Y의이동거리 , Z의이동거리
예) @0,0,100 --> X,Y로의 이동없이 Z로만 100만큼 이동.
** VPOINT 명령 **
Vpoint 는 기존의 2차원 View에서 3차원 View를 볼수있도록 사용자 관찰 시점을 맞춰준다.
<방법>
Command: vpoint
Current view direction: VIEWDIR=1.0000,-1.0000,1.0000
(--> 현재의 Vpoint 상태를 보여준다)
Specify a view point or [Rotate]
(--> 새로운 또는 원하는 Vpoint 세팅값을 넣는다 )
Regenerating model.
이때 숫자의 기준은 '1' 이며 이것은 정육면체를 기준하여 맞닿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
이때첫번째 들어가는 숫자는 오른쪽면을 볼지 왼쪽면을 볼지를 결정하며,
두번째들어가는 숫자는 정면을 볼지 뒷면을 볼지 를 결정하고,
세번째 들어가는 숫자는 윗면을 볼지 아랫면을 볼지 를 결정한다.
※ 이때 보고싶지 않은 면은 '0'으로 처리한다.

※ 처음 익숙하지않은 경우 위의 셋팅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시된 셋팅을 외운뒤 여러번 반복하며 구성을 살펴보면서 차츰 익혀 간다.
[자료제공 : Dr.Koh]